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17298
- 백준 #7568
- JS
- 백준 #9655
- 백준
- 백준 #5073
- javascipt
- ErrorBoundary
- vite
- 11003
- 30504
- kubernetes #k8s
- Web
- aws #docker
- react
- Context API
- aws #docker #mysql #heidisql
- 백준 #1157
- 9251
- aws #kubernetes
- C++
- 백준 #2292
- 백준 #23971
-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클라우드 in 제주
- fe
- 2493
- frontend
- 3015
- aws #docker #tomcat
- 구름톤유니브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kubernetes #k8s (1)
gmlwlsl 님의 블로그

특성모든 오픈소스는 오브젝트 형태로 관리명령어 빈도 여러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 구조Master node : 전체 관리, eks를 실행한 인스턴스Worker node : 내에 들어갈 일도, 명령어를 입력할 일도 없음 client가 명령어 입력 → master node의 api 서버에 전달 → scheduler에게 노드들 중 어떤 게 더 명령을 보내야 할지 물어봄 → 스케줄러는 etcd에 api 전달해서 노드들의 정보들을 요청함 → 정보를 받은 스케줄러는 api server에게 어디 노드로 가라 이야기함 → 해당 워커 노드에게 명령 전달 → kubelte이 명령받고 → Pod(=컨테이너)를 만듦,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network proxy가 활성화됨 → api 서버가 필터링하여 client에게 친화적으..
Visualizer
2024. 6. 28. 15:03